KBS 간판 아나운서에서 청와대 대변인을 거쳐 서울 광진을 재선 국회의원이 된 고민정 의원. 남편 조기영 시인과의 감동적인 사랑 이야기부터, 그녀의 정치적 소신과 주요 활동까지 객관적인 사실로 깊이 있게 심층 분석합니다.
고민정 국회의원을 만나보겠습니다.
한때는 KBS의 간판 아나운서로, 또 한때는 청와대의 '입'으로서 대통령의 목소리를 대변했던 인물. 이제는 서울 광진의 재선 의원이자 당 지도부의 일원으로 성장했습니다.
바로 더불어민주당의 고민정 의원입니다. 그녀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와 파란만장한 정치 여정을 지금부터 함께 따라가 보시죠.
고민정 프로필, 핵심 정보 요약
먼저 고민정 의원이 어떤 인물인지 기본 프로필부터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이름: 고민정 (高旼廷)
- 출생: 1979년 10월 13일 - 만 45세
- 고향: 서울특별시
- 현 지역구: 서울특별시 광진구 을
- 소속 정당: 더불어민주당
- 의원 선수: 재선 (21대, 22대)
- 학력:
- 분당고등학교 졸업
-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중국어학 학사
- 일본 교토 노트르담여자대학 대학원 인문문화연구학 석사
- 주요 경력:
- KBS 공채 30기 아나운서
-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문재인 정부)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現 더불어민주당 인권위원장, 언론자유대책특별위원장
- 가족: 남편 조기영(시인), 슬하 1남 1녀
- 종교: 천주교 (세례명: 마리스텔라)
재산
고민정 국회의원 2024년 재산 신고, 1.6억 빚 갚고 '부채 0원' 달성
고민정 국회의원의 재산은 총 9억 328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작년에 비해 약 4,228만원 증가한 금액입니다. 이번 재산 신고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1억 6,000만원의 은행 빚을 전액 상환하여
www.thinkaloudblog.com
1막: KBS 간판 아나운서 시절
고민정 의원의 첫 커리어는 '아나운서'였습니다. 2004년 KBS 공채 30기 아나운서로 입사한 그녀는, 13년간 '생로병사의 비밀', '무한지대 큐', '책 읽는 밤' 등 KBS의 주요 교양 및 보도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시청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단아한 외모와 차분하고 신뢰감 있는 목소리로, 그녀는 KBS를 대표하는 간판 아나운서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막: 청와대의 '입', 그리고 여의도 입성
2017년, 그녀는 13년간 몸담았던 KBS에 사표를 내고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의 선거 캠프에 대변인으로 합류하며, 모두를 놀라게 하는 정치 입문을 선언합니다. 이는 그녀의 인생에 가장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최연소 여성 대변인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그녀는 청와대 부대변인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으로 발탁됩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요, 그녀는 청와대의 '입'으로서 대통령의 생각과 국정 철학을 국민에게 가장 정확하게 전달하는, 막중한 책임을 맡았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 그녀는 안정적인 브리핑 능력과 소통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거물을 꺾고 국회로
청와대 대변인 임기를 마친 그녀는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정치 신인으로서는 매우 험지라 할 수 있는 서울 광진구 을에 전략 공천됩니다. 상대는 당시 미래통합당의 잠재적 대권주자였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었습니다.
모두가 어려운 싸움을 예상했지만, 그녀는 '문재인 정부의 대변인'이라는 상징성과 진솔한 선거운동으로, 오세훈 후보를 2.5%p 차이로 꺾는 대이변을 연출하며 국회에 입성합니다.
이후 2024년 22대 총선에서도 국민의힘 오신환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며, 지역 기반을 탄탄히 다졌습니다.
3막: 소신과 정책의 정치인
재선 의원이 된 그녀는 당 지도부의 일원인 최고위원을 역임하는 등 당내에서 입지를 넓혔습니다. 현재는 국회 교육위원회와 운영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당의 인권위원장과 언론자유대책특별위원장이라는 중책도 맡고 있습니다.
최근 그녀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며,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주장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이념에 얽매이기보다는, 변화하는 유권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책적 소신을 펼치려는 모습으로 해석됩니다.
남편 조기영 시인과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고민정 의원을 이야기할 때, 그녀의 남편인 조기영 시인과의 사랑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두 사람은 대학 시절 동아리 활동을 통해 만나 사랑을 키웠습니다. 하지만 조기영 시인이 강직성 척추염이라는 희귀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정 의원은 "그 사람의 아픔까지 사랑하겠다"며 변함없는 사랑으로 그의 곁을 지켰고, 2005년 결혼에 골인했습니다. 이들의 순애보는 많은 이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으며, 현재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소통과 소신을 겸비한 정치인
지금까지 고민정 국회의원의 삶과 정치를 살펴보았습니다. 국민에게 사랑받던 아나운서에서, 청와대 대변인으로, 그리고 이제는 소신을 지키는 재선 중진 의원으로. 그녀의 여정은 '소통'과 '진심'이라는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당의 주류와 다른 목소리를 내며 자신의 소신을 지키는 그녀가, 앞으로 대한민국 정치에 어떤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지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2025.07.04 - [더불어 민주당] - 전용기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지역구 재산 학력 경력
전용기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지역구 재산 학력 경력
볼링 선수에서 시작해, 21대 최연소 국회의원을 거쳐 22대 최연소 '지역구' 재선 의원이 된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 그의 나이, 고향, 학력, 경력, 그리고 그를 둘러싼 '돈봉투 의혹' 등 주요 논
politics.celeb-story.com
2025.07.04 - [더불어 민주당] - 이소영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지역구 재산 학력 경력
이소영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지역구 재산 학력 경력
김앤장 법률사무소를 스스로 박차고 나온 환경변호사, '양평 1타강사'라는 별명으로 스타덤에 오른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 30대에 지역구 재선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라는 기록을 쓴 그의
politics.celeb-story.com
2025.07.04 - [더불어 민주당] - 김남희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재산 학력 경력 지역구 총정리
김남희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재산 학력 경력 지역구 총정리
'억대 연봉'을 포기한 변호사, 시민단체 참여연대 활동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거쳐, 이제는 국회의원이 된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 그의 나이, 고향, 학력, 경력 등 약자의 편
politics.celeb-story.com
2025.07.04 - [더불어 민주당] - 이해식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경력
이해식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경력
서울 강동구청장을 3번 역임하고 국회에 입성한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 학생운동가에서 시작해 당 수석대변인이 되기까지, 그의 나이, 고향, 학력, 경력, 그리고 그의 정치 여정을 따라다닌
politics.celeb-story.com
2025.07.03 - [더불어 민주당] - 김정호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그리고 3선 의원
김정호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그리고 3선 의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변론을 받던 학생운동가에서 시작해, 청와대 비서관과 봉하마을 대표를 거쳐 3선 국회의원이 된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 그의 나이, 고향, 학력, 경력, 그리고 그의 정
politics.celeb-story.com
'더불어 민주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준호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논란 : '수능 만점' 변호사에서 국회의원까지 (0) | 2025.07.05 |
---|---|
한준호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재산 지역구 : MBC 아나운서에서 민주당 최고위원까지 (0) | 2025.07.05 |
전현희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경력 대한민국 최초 '치과의사·변호사'에서 3선 의원까지 (0) | 2025.07.05 |
박주민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경력 '세월호 변호사' (0) | 2025.07.05 |
서영교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지역구 재산 경력 : '구하라법'의 주역 (0) | 2025.07.05 |